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BTI 테스트로 알아보는 나만의 성격 유형

by 정보의진심 2023. 11. 10.

MBTI 테스트는 미국의 심리학자 캐서린 브릭스와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입니다. 외향(E)과 내향(I), 감각(S)과 직관(N), 사고(T)와 감정(F), 판단(J)과 인식(P)의 네 가지 지표로 나누어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을 구분합니다.

MBTI 테스트는 성격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며,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MBTI 테스트의 장점

  •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MBTI 테스트의 단점

  • 객관적인 검사는 아니다.
  • 검사 결과를 단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MBTI 테스트의 4가지 지표

  • 외향(E)과 내향(I)

외향(E)은 외부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타인과 교류하는 것을 즐기는 성향입니다. 내향(I)은 내면 세계에 관심을 가지고,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성향입니다.

  • 감각(S)과 직관(N)

감각(S)은 현실에 기반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경험을 중시하는 성향입니다. 직관(N)은 추상적인 개념과 가능성을 중시하는 성향입니다.

  • 사고(T)와 감정(F)

사고(T)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성향입니다. 감정(F)은 감성적이고 공감적으로 판단하는 성향입니다.

  • 판단(J)과 인식(P)

판단(J)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성향입니다. 인식(P)은 유연하고 변화를 추구하는 성향입니다.

MBTI 테스트의 16가지 성격 유형

  • ESTJ: 외향(E), 감각(S), 사고(T), 판단(J)
  • ESFJ: 외향(E), 감각(S), 감정(F), 판단(J)
  • ISTP: 내향(I), 감각(S), 사고(T), 인식(P)
  • ISFP: 내향(I), 감각(S), 감정(F), 인식(P)
  • ESTP: 외향(E), 감각(S), 사고(T), 인식(P)
  • ESFP: 외향(E), 감각(S), 감정(F), 인식(P)
  • INTJ: 내향(I), 직관(N), 사고(T), 판단(J)
  • INFJ: 내향(I), 직관(N), 감정(F), 판단(J)
  • INTP: 내향(I), 직관(N), 사고(T), 인식(P)
  • INFP: 내향(I), 직관(N), 감정(F), 인식(P)

MBTI 테스트의 활용 방법

MBTI 테스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MBTI 테스트의 대표적인 활용 방법입니다.

  • 자기 이해

MBTI 테스트는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진로 선택

MBTI 테스트는 자신의 성격과 적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팀워크

MBTI 테스트는 팀 구성원의 성격을 이해하고, 팀워크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MBTI 테스트의 한계

MBTI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 객관적인 검사는 아니다.

MBTI 테스트는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는 검사입니다. 따라서, 검사 결과를 단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됩니다.

  • 검사 결과를 남용해서는 안 된다.

MBTI 테스트는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이지만, 검사 결과를 남용해서는 안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