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9억대 이하 서울 30평대 5년이하 신축 아파트

by 정보의진심 2023. 3. 7.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 아파트 9억 이하에 거래된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9억대 이하로 살 수 있는 30평대 서울 부동산 5년이하 아파트 5곳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아파트 5곳은 국민 평수 30평대 기준으로 했습니다. 금액은 9억 원 이하 아파트 

연식은 5년 이내 서울 아파트를 실거주 기준으로 알아 봤습니다. 

 

 

 

첫 번째 소개드릴 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우장산 숲 아이파크입니다. 

 

 

총세대수 576세대로 

22년 11월 준공을 하였습니다. 

최고층은 15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단지에서 도보 9분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습니다. 

23년 2월 18일 8억 8800만 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호가 매물은 10억 5000만원에 올라와있으며 

전세는 같은 평형 5억원에 올라와 있습니다. 

 

 

 

두 번째 아파트는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백련산 파크 자이 아파트입니다. 

총세대수 678세대로 

21년 4월 준공을 하였습니다. 

최고층은 20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단지에서 도보 8분 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습니다. 

23년 2월 17일 8억 9000만 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 아파트는 21년 7월 최고가로 12억 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호가 매물은 8억 3000만 원에 올라와있으며 

전세는 같은 평형4억 4100만 원에올라와 있습니다. 

 

세 번째 아파트는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한

노원 센트럴 푸르지오 입니다. 

총세대수 810세대로 

20년 2월 준공을 하였습니다. 

최고층은 27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단지에서 도보 2분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습니다. 

23년 1월 17일 8억 60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 아파트는 21년 11월 최고가로 12억50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호가 매물은 10억원에 올라와있으며 

전세는 같은 평형 5억1000만원에 올라와 있습니다. 

 

네번째 아파트는

서울 은평구에 위치한

이편한세상 백련산 입니다.

총세대수 358세대로 

22년 7월 준공을 하였습니다. 

최고층은 15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단지에서 도보 9분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습니다. 

23년 2월 23일 직거래로 6억 35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 아파트는 19년 10월 최고가로 6억56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호가 매물은 9억원에 올라와있으며 

전세는 같은 평형 4억8000만원에 올라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아파트는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위치한

우남 퍼스트빌더센트럴 아파트 입니다. 

총세대수 337세대로 

20년 6월 준공을 하였습니다. 

최고층은 20층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단지에서 도보 3분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습니다. 

22년 12월 17일  8억 10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 아파트는 21년 4월 최고가로 8억70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현재 호가 매물은 7억5000만원에 올라와있으며 

전세는 같은 평형 4억원에 올라와 있습니다.

현재 한국 부동산 시장은 많은 수의 미분양 아파트에 직면해 있습니다. 전국 7만5000명 돌파, 10년 2개월 만에 최고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한 '1·3차 대책'을 통해 상황을 완화시키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분양 주택은 줄지 않고 10만 채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을 비롯한 부동산 대책은 수도권과 지방 시장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후폭풍'을 낳았습니다. 미분양 증가세가 주춤하지 않고 건축자재와 인건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습니다. 미분양과 분양가가 동시에 치솟는 '이상한 동거 현상'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분양 해소를 위해 서울 강남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 규제를 가했지만 미분양 주택이 늘고 있습니다. 업계는 '1·3차 대책' 이후에도 미분양 증가세가 멈추지 않는 상황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분양가 하향 조정을 강조하고 있지만, 건축 자재와 인건비 상승으로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 입니다. 현재 미분양 상황을 계속해서 관심있게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댓글